1. 스왑의 의의

 - 거래 당사자가 미래의 현금흐름을 교환하기로 하는 계약

 - 선물(futures), 옵션(option)과 함께 가장 기초적인 파생상품이다. 다른 파생상품과 마찬가지로 금리나 환율변동에 의한 위험을 해지하는데

   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된다. 또한 서로 다른 시장에서의 비교우위를 활용하여 자금조달비용을 절감시킬 수도 있다.

 

2. 스왑의 유형

 - 교환대상이 되는 상품에 따라서 상품(commodity)스왑, 금융(financial)스왑으로 유형을 나눌 수 있다.

 

3. 금융(financial)스왑 유형

1) 금리스왑(interest rate swap) ; 이자만 교환

 (1) 금리스왑의 종류

   - 고정-변동금리스왑(fixed-floating rate swap)  ; 고정금리채무와 변동금리채무간의 이자지급 의무만을 서로 교환하는 것 

   - 기준금리스왑(basis swap) ; 산정방식이 다른 변동금리간의 이자지급의무를 교환하는 것

   - 역변동금리스왑(reverse swap) ; 금리스왑을 통한 포지션이 예상과 다른 금리의 변동으로 인해 오히려 불리해질 때 다른 스왑으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반대포지션을 취해 기존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

 

 (2) 금리스왑 투자전략

   - 변동(고정)금리부 부채의 합성 

 

 변동금리부 사채 = 고정금리부 사채 + 변동이자를 지급하는 이자율 스왑계약

 고정금리부 사채 = 변동금리부 사채 + 고정이자를 지급하는 이자율 스왑계약

 

  - 위험헤지

  - 차입비용 절감 ; 두 기업이 서로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으 차입할 수 있는 상대적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을 때 이용

 

 (3) 금리스왑의 구조 

 

+ Recent posts